[스크랩] Michael Pento, 일본 부채 붕괴가 임박 지난 주 제로헷지에 소개된 Sovereign Man 블러그의 Simon Black은 미국의 부채 위기를 강조하기 위해 역사를 통해 부채를 디폴트했던 국가들의 예를 다음과 같이 들었습니다. 1877년까지 오토만 정부는 이자 지불에 총 세수의 52%를 지불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시점에 그들은 끝났다. 그 해에 그.. 이코노미 2014.03.31
[스크랩] 출구전략과 기축통화 지위의 변동 주말이니까 글 하나 더 추가. . . . 미국이 금리인상하면 전 세계의 양털을 깎는다는 썰이 있지. 아주 쉽게 설명해줄게. 1. 양적완화 (통화팽창) 2. 출구전략 (Surf or Die) 1번 부터 시작. 1. 양적완화 (금리인하, 채권매입) 한마디로 기축통화인 달러를 채권매입과 금리인하로 '전 세계에 돈을 푸.. 이코노미 2013.11.11
[스크랩] ◆ 낙수효과. 고작 350원 낙수효과. 고작 350원 2014년 – 최저임금 시급 4860원→ 5,210원(350원 인상). 10대 재벌 사내 유보금은 350조 원... 낙수효과란. 재벌따까리들이 울거 먹으려고 갖다 붙인 사기극이랍니다. 낙수효과란. 넘쳐흐르는 물이 바닥을 적신다는 뜻. 자기들 밥그릇을 더 크게 키우는데 만 혈안이 되면,.. 이코노미 2013.07.15
[스크랩] ◆리디노미네이션(화폐 개혁) 절대 불가능한 이유 매번 정권이 바뀔 때마다 부동산 세력들이 찌라시를 앞세워 화폐개혁을 외치며 겁주려 하고 있습니다. 제겐 인플레이션을 부추겨서 현 난국(특히 부동산)을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똘박들의 꼼수로 보이지만. 착각하지 마세요. 아무리 화폐개혁을 하더라도 빚의 절대 값은 줄어드는.. 이코노미 2013.07.15
[스크랩] ◆ 어머나! 미국 금리 폭등하는 것 봐라 어머나! 미국 금리 폭등하는 것 봐라. 10년 물 국채금리가 순식간에 1% 이상 폭등했네 양적완화 중단은 9월부터 하겠다고 했는데 왜 벌써부터 미국 금리가 폭등할 까나? 1단계. 대공황 시대에, 경기 부양을 위해 제로 금리를 실시합니다. 근디 대공황 시대 = 대량파산 시대이므로 무더기 파.. 이코노미 2013.07.09
[스크랩] [펌글_바로보는세상] <펌글입니다.> 힘들어하시는 분들이 계실까해서 이번 한번만....너그러이...용서바랍니다. ----------------------------------------------------------------------------- 최근 전세계가 돌아가는 상황을 보면서, 한가지 두 개의 차이와 관점을 잘못 접근하고 있기에 ‘아리송해’인 상황으로 대부분이 가.. 이코노미 2013.06.27
[스크랩] 짐 로저스, “경제대란이 발생하기 전까지 아무도 이 상황에서 빠져나올 수 없다.” zerohedge 짐 로저스가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해서 번역을 해봅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도 있고, 동의할 수 없는 부분도 있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본인은 장기적으로는 금의 강세론자라고 자처하지만, 금에 대한 관심을 떨어뜨리려는 의도가 왕창 묻어 납니다. 금을 화폐가 아니라 원자재.. 이코노미 2013.06.01
[스크랩] 삼성 강소기업 14선 코스닥지수 강한 상승신호 나와서 일단 삼성강소기업부터 짚어드립니다. 예전에 삼성에서 강소기업 육성을 발표했을당시에 삼진, 신흥정밀, 부전전자, 큐에스아이, 대덕전자, 새솔다이아몬드, 솔브레인, 심텍, ENF테크놀로지, 원익아이피에스, 이오테크닉스, 유진테크, 에스에프에이, 피.. 이코노미 2013.04.29
[스크랩] 삼성-애플 특허전쟁과 파장 - 필독 "삼성-애플 특허전쟁과 파장" 2012년 8월 27일 ____ IT와 기술세계를 다룬 ‘사과전쟁’ 연재시절부터 내 글을 읽어온 분들이 묻는다. 요즘은 왜 기술 얘기를 하지않느냐고 내 답은 간단하다. 더 쓸 말이 없기때문이다. 기술분야의 불확실성이 제거되었고 예정된 길을 가고 있는데, 내가 무슨 .. 이코노미 2012.08.28
[스크랩] 삼성-애플 특허전과 파장- 2편- 새글 필독!! "삼성-애플 특허전쟁과 파장 - 2 -" 2012년 8월 28일 ____ 나는 공개적인 공간에서 삼성에 대한 언급을 거의 하지않는다. 최근 삼성-애플 특허전의 결과를 보고 이 원칙을 깼다. 그동안 쓴 내 글에 대한 책임감 때문이었다. <링크: 삼성-애플 특허전쟁과 파장> 예상했던데로 글을 올린 지 얼.. 이코노미 2012.08.28